보험가입자 43%가 암으로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암으로 인한 사망자가 2000년 이후 매년 급증했는데, 특히 50대 이상 고연령층 남성 암 사망자의 절반 이상은 폐암으로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한화생명이 2000~2017년 18년간 암 보험금을 수령한 30만명의 정보를 토대로 분석한 '빅데이터로 본 암(Cancer)' 자료에 따르면 2017년 암 사망원인 상위 5위는 간암·폐암·위암·대장암·췌장암 순이었다.
2000년에 3위였던 폐암은 위암을 밀어내고 2위로 올라섰다. 2016년 전국민 대상의 통계에서 폐암은 암 사망 원인 중 독보적 1위다. 폐암으로 인한 사망자 증가 추세도 빠르다. 한화생명의 암 사망 고객은 2000년 412명에서 2017년 992명으로 2.4배 증가했다.
반면, 위암은 2000년 520명에서 2017년 466명으로 감소했다. 사망원인 1위인 간암은 높은 사망자수를 나타내고 있지만, 2005년 이후로는 증가세가 주춤해졌다.
폐암은 특히 고령일수록 사망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분석됐다.
최근 2년간(2016년~2017년) 한화생명 데이터에 따르면, 50~60대에서 폐암으로 인한 사망비율이 젊은 층에 비해 높았다. 남성의 경우 30~40대에서 암 사망자 중 폐암이 원인인 경우는 12%에 불과했으나 50~60대에는 23%로 증가했고, 70대 이상의 고령이 됐을 때는 35.3%로 급증했다. 여성도 마찬가지였다. 30~40대의 암 사망 원인은 유방암(25.4%), 자궁·난소암(15.0%) 등이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나, 50~60대에선 자궁·난소암(14.5%), 유방암(14.3%)과 유사하게 폐암(14.2%)이 크게 증가했다.